반응형 부동산정보/개발 · 관리 반응형 35 전원생활을 위한 산지전용허가 4대기준 최근 6년 귀산촌인은 6.7%증가 하였고 귀산촌 가구는 9.1% 증가하였다는 산림청 통계가 있듯 자연과 어우러져 여유를 가지고 여가 생활을 줄기는 윤택한시간을 보내고자 하는 전원생활을 꿈꾸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우리들 꿈을 실현하기 위하여는 미리 산촌에 살아보는 체험도 필요 할것이고 마을문화를 이해하며 원주민과의 화합하려는 마음자세, 정착할 지역등등 준비과정이 꼭 필요할것인바, 산촌체험,산촌학교,귀산촌정착지원 등등 교육이 삼림청지원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하니 귀산촌을 꿈꾸고 있는 분들이라면 산림청 산림복지정책과(042-481-4245)의 도움을 받아보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정착지를 정하고 토지매입 후 토지형질변경(산지전용허가)과 같은 개발행위를 해야 하는 경우 필 수 검토사항으로는 연접개발제한, 평균경.. 2020. 7. 16. 전세권 설정 보증금 전부 회수 불가 할 수도 있다?! 최근 몇 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전세 가격이 상승하면서 주거안정을 위한 부동산 대책이 반복적으로 발 표 되는 가운데 전세대란이 일어난다는 뉴스가 연일 쏟아져 나오면서 전세를 구하거나 전세를 사는 분들에게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전세권 설정이 무조건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전세권 설정한 선순위 전세권이라 하더라도 보증금 전액 회수가 안 되는 경우도 있어 임차권보다 불리할 때도 있습니다. 우선은 전세권 설정 절대 하지 마세요!??라고 말하겠습니다. 전세권 설정 보증금 전부 회수 불가할 수도 있다?! 전세를 구하는 분들은 부족한 보증금 마련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전세를 사는 분들은 보증금 증액 없이 안정적으로 계약 연장하면서 오랜 기간 살기를 원하며, 계약기간 만료 후 방을 뺄 때는 안전하게 적기.. 2020. 7. 14. 임대차정보 제공 의무화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 필요성 2018년 대비 2019년 주거비 부담이 15.9% 증가하였다는 주택금융공사의 발표가 있었듯이 임차자 입장에서 볼 때 전세가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이 빨라지게 되며 임차료의 폭등우려 속에서 주거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에 임대차기간, 계약갱신청구기간, 전월세 증액제한 등의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을 발의 6월 중 국회통과를 시도한다는 보도가 있는바, 개정안이 신속히 통과되어 폭등하는 전월세가 거주불안 고통을 덜어주겠다고 하는데 결과가 어떻게 되던 간 집값도 오르고 전월세도 오르기만 하는 현 부동산시장의 불안은 언제 안정이 될까요? 임차자가 주택의 인도와 전입신고를 하고 확정일자를 갖추면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이 생겨서 임차주택이 경공매 되는 경우에 임차주택의 환가대금에서 후순위.. 2020. 7. 13.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