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시장
11월 둘째 주 11일부터 16일까지 원달러 환율은 1400.50에서 1408.00 사이에서 움직이며 상승세로 마감했다. 추세는 상승 추세에 있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과 글로벌 경제 지표에 따른 달러 강세 영향으로 분석된다. 여기서 잠깐 미연준 금리정책을 엿보고 오면 현재의 우리 경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Fed금리정책의 촛점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참조하세요
아무튼 원화 약세는 수출품 가격 경쟁력이 강화되면서 전자제품, 자동차, 석유화학 제품 등 주요 산업이 혜택을 입으며 수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주식 시장
2024년 11월 11일부터 16일까지의 주식시장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코스피 지수는 11월 11일 2,500포인트에서 11월 16일 2,550포인트로 상승하였고, 코스닥 지수도 같은 기간 동안 800포인트에서 820포인트로 올랐다
.
- 상승한 업종
- 반도체: 글로벌 반도체 수요 증가와 주요 기업들의 실적 개선 기대감으로 인해 반도체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 자동차: 전기차 시장 확대와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신차 출시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자동차 업종이 상승하였습니다.
- 하락한 업종
- 유통: 소비 심리 위축과 온라인 쇼핑의 성장으로 인해 전통적인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의 주가가 하락하였다.
- 항공: 국제 유가 상승과 여행 수요 둔화로 인해 항공업종이 약세를 보였다.
주요 상승 및 하락 요인
- 미국 금리 정책: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동결 또는 소폭 인상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한국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미쳐 일부 업종의 주가 변동을 초래하였습니다.
- 환율 변동: 원/달러 환율의 상승은 수출 기업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관련 업종의 주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 국내 경제 지표: 소비자 물가 상승과 경제 성장률 둔화 우려가 일부 업종의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해당 기간 동안 한국 주식시장의 업종별 주가 변동을 이끌었다.
부동산 시장
2024년 11월 둘째 주(11월 11일~16일)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33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으나, 상승폭은 점차 둔화되는 추세라고 할 수 있겠다
9월 전국부동산 거래량이 대출규제와 경기불확실성의 결과로 최저치를 기록 한가운데 11월 수도권에서는 2만 가구 분양 예정되어 있는 가운데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의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다.
거래량 감소와 함께 시장이 조정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실수요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정책
정책적인측면에서는 정부의 디딤돌 정책 혼선으로 디딤돌대출을 받아야 하는 실 수요자들이 대출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는 핫이슈가 있었다.
분양 잔금을 대출 계획을 하여 분양 받은 수분양자들이 대출이 막히는 효과로 인하여 급하게 자금을 마련을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디딤돌 대출관련하여 별도 다룰것이다.
경매 시장
2024년 11월 둘째 주(11월 11일~16일) 주택 경매시장은 경매물건의 증가, 낙찰가율 상승으로 정리할 수 있다.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영끌족'의 부채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주택 경매에 나오는 물건 수가 증가하는 추세는 부동산 시장의 조정 국면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에서 낙찰가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강남 3구를 중심으로 낙찰가율이 높게 유지되고 있으며, 이는 해당 지역의 부동산 수요가 여전히 견고함을 나타낸다.
그러나 서울 외곽 지역과 지방의 경우, 경매 낙찰가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어 이는 지역별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 현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아무튼 부동산 가격 조정과 경매 물건 증가로 인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며 수익률이 높은 지역의 경매 물건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주택 경매시장은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매물 건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별로 낙찰가율의 차별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이러한 시장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5-29 부동산 주식 금융 시장 (1) | 2024.12.02 |
---|---|
11월 셋째주 (18-23일) 외환 주식 부동산 시장 정리 (5) | 2024.11.24 |
Fed 금리 정책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6) | 2024.11.17 |
11월첫주(11/1-8)부동산 금융 주식시장 (14) | 2024.11.11 |
트럼프 당선이 경제에 미칠 영향과 대책 (6) | 2024.11.09 |
댓글